교회 성폭력, 목회자-교인간 가장 높은 비중
2020년 한 해 코로나 팬데믹 중에도 한국교회 안에서 성폭력 피해자들의 고통의 목소리가 계속됐다는 안타까운 소식입니다. 이 중 목회자 및 선교단체 리더 등 리더들에 의한 성폭력이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습니다. 누구보다 성도들을 아끼고 보듬어야할 리더들이 오히려 가해자는 되는 현실입니다.
이러한 통계는 기독교반성폭력센터(yourvoice.or.kr)가 지난해 1월부터 12월까지 접수 및 지원했던 사건을 토대로 상담 통계를 집계한 결과, 나타났습니다.
센터로 접수된 사건은 모두 43건(피해자 68명)으로 이 중 목회자(목회자 및 선교단체 리더)가 교인에게 성폭력을 저지른 경우가 19건(42%)으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으며, 가해자의 신분으로는 담임목회자나 부목회자, 선교단체 선교사, 간사 등 리더들의 비율이 과반을 넘어 성폭력이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힘과 권력의 문제임을 보여 줬습니다.
1인 피해자와 함께 다수 피해자도 많아
또한 성폭력의 각 사건은 피해자가 1인인 경우가 35건(8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지만, 다수의 피해자가 발생한 사건도 무려 8건(19%)을 차지했습니다. 한 가해자가 적게는 2인 많게는 7인까지 피해를 줬으며, 성폭력 사건 후에 교회 공동체를 떠나거나 상담에 접수되지 않은 피해자들까지 고려할 경우 피해자가 다수 발생한 사건은 실제로 더 많을 것으로 판단됩니다.
피해자 중에는 20대 여성청년의 피해자가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피해자의 성별과 연령별 현황을 확인 결과, 피해자가 여성인 경우는 66명(97%), 남성인 경우는 2명(3%)으로 집계됐습니다. 이 중 성폭력 피해를 입었을 당시의 피해자 연령은 20대가 36건(53%)로 가장 많이 나타났습니다.
예장합동 가장 비율 높아
아울러 센터에 접수된 상담 중 교단에서 일어난 사건은 모두 15건으로 예장합동이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했습니다. 비교단 소속 상담은 19건으로 선교단체와 기독교 재단의 학교와 기타에서 일어났습니다. 기타에는 친구나, 연인, 친족에 의한 성폭력 등이 포함됐습니다.
피해 유형(중복집계)으로는 성추행 상담수가 20건으로 가장 많았고, 강간이 9건, 성희롱이 3건, 데이트 폭력이 5건으로 나타났습니다. 기타 피해 유형에는 스토킹, 2차 가해로 인해 발생되는 명예훼손 등의 피해가 포함됐습니다.
'궁금한 교회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SBS 그것이 알고 싶다- 정인 양 사건, 더불어사는 세상 중요 (0) | 2021.01.09 |
---|---|
세성협, 고 손학풍 목사 추모식 가져 (0) | 2021.01.09 |
ABC마트, 글로벌비전 통해 베트남에 신발 2만 2천족 기부 (0) | 2021.01.07 |
코로나 시대 선교전략 모색할 CCC온라인선교캠프 열린다 (0) | 2021.01.07 |
미주홀리클럽 초대회장 김경수 장로 소천 (0) | 2021.01.06 |
댓글